HOME > >
지방정부 혁신교육을 위한 10대 과제
- 1) 교육지구 확산 및 지속운영
- 교육 거버넌스를 통해 지방정부의 교육력을 높입니다.
- 교육지구를 통한 지방정부·교육청 간 협업유지
- 민·관·학 교육 거버넌스 활성화, 혁신교육지원센터 설치
- 2) 온종일돌봄체계 구축
- 지방정부에 맞는 돌봄체계에 대하여 연구합니다.
-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마을방과후학교 운영모델 개발
- 마을프로그램 및 마을교사 전문성 강화
- 3) 아동친화도시 조성
- 아동·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방정부를 만들어 갑니다.
- 아동청소년 기본소득 정책 실현 (예시 아동청소년동행카드)
- 청소년거점 공간 확대 : 청소년문화의집 설치
- 청소년정서심리지원 : 청소년 통합상담지원체계 마련
- 4) 학부모회 네트워크 활성화
- 학부모는 지방정부의 든든한 파트너입니다.
- 학교별 학부모회·학교운영위원회 등의 지방정부 지원조례 제정
- 학교 간·권역별 학부모회 네트워크 구성 정책 수립
- 시민참여학교 운영
- 5) 학교시설 개방 및 공간 리모델링
- 공간이 바뀌면 사람이 바뀝니다. 공간혁신, 학교부터 시작합니다.
- 학교 시설 개방을 통한 마을·학교 연계 운영
- 청소년 프로젝트형 공간 리모델링 기획
- 폐교 및 학교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교육 공간 설치
- 6) 마을교육과정 개발
- 우리 아이들의 배울거리를 지방정부에서 챙깁니다.
- 마을의 우수 프로그램을 학교교육과정에 접목
- 마을교과서 등 교재 및 교육 기자재 제작 및 배급
- 7) 지방정부 주도의 청소년 활동 지원
- 지방정부에서 청소년에게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줍니다.
- 청소년 문화예술 공간설치, 영화·연극 및 뮤지컬 프로그램 지원
-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프로그램 개발
- 청소년자치활동 지원 : 청소년의회, 학생회연합회, 청소년 동아리 등
- 8) 세계시민·다문화 지원
- 다문화를 넘어 세계시민으로, 평화통일은 지방정부가 준비합니다.
- 아동·청소년 세계시민교육 지원
- 이주민·다문화 가정·학생 등 참여 프로그램 개발
- 우리민족끼리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평화통일 교육지원
- 9) 교육 관련 사회적경제 육성
- 사회적경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합니다.
- 학교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및 지원사업 마련
- 사회적기업 제품 및 서비스 학교 우선구매 촉진
- 10) 도농상생 급식 지원
- 무상급식을 넘어 상생급식을 추구합니다.
- 도농 협약을 통한 우수 농·축산물 식자재 납품
- 도시농업 프로그램 육성, 도농 간 체험 및 교류활동